본문 바로가기
내 맘대로 하는 게임 리뷰

Game_Post 10 : [CODE VEIN (코드 베인)]

by SamEJi 2023. 11. 6.

CODE VEIN (코드 베인)

2019년 9월 26일
 
주식회사 시프트(SHIFT)에서 개발, 반다이 남코에서 유통한 액션 RPG게임
 
CODE VEIN (코드 베인)입니다
 
가격은 스팀 기준 64,800원으로 상당히 비싸지만
 
80%정도의 대형 할인을 무척 자주 하기 때문에, 은근히 가격의 부담이 적은 편입니다
 
바로 시작합니다


1. 플레이 방식

0. 기초 조작법
(키보드 기본 지정키 기준으로 작성했지만, 작성자는 개인적으로 패드로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동 : WASD

회피 : 스페이스바(SPACE BAR)

받아넘기기(패링) : C

대시 : 우측 쉬프트(SHIFT)

사용 아이템 변경 : 좌, 우측 방향키

아이템 사용 : 아래 방향키

-

락온 : 마우스 휠 버튼 클릭

약공격 : 마우스 좌클릭

강공격 : 마우스 우클릭

가드 : 알트키(Alt)

흡혈 : 컨트롤키(Ctrl) + 마우스 좌클릭 지속

연혈 발동 : 좌측 쉬프트 +  F1 ~ F8
1. 플레이어 정보

(1) HP 게이지 (맨 위 사진 붉은색 바)

플레이어의 체력을 나타내며, 플레이어의 레벨이나 블러드코드에 의해 최대치가 변화합니다

-

(2) ST 게이지 (체력 위의 흰색 바)

플레이어의 스태미너를 나타내며, "대시, 회피, 공격" 등의 동작을 하면 필요량만큼 줄어듭니다

게이지가 전부 줄어들면, 필요량이 차기 전에는 공격이나 회피를 하지 못합니다

-

(3) 헤이즈 (HP 게이지 아래의 숫자)

게임 내의 "화폐"로 사용되는 시스템입니다

"장비나 아이템의 구매, 연혈의 습득, 레벨업" 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보유한 헤이즈는 플레이어가 죽으면 전부 드롭하며, 죽은 장소에 가면 회수할 수 있습니다

단, 회수하지 못하고 다시 죽게 되면 처음 드롭한 헤이즈는 소멸하게 됩니다

-

(4) 명혈 (중간 사진의 숫자)

다른 게임의 MP와 같은 개념으로, 플레이어가 연혈(스킬)을 사용하는데 소모하는 자원입니다

명혈은 "공격, 가드, 흡혈"을 통해 얻을 수 있으며, 플레이어가 흡혈에 성공하면 일시적으로 최대치가 늘어납니다

-

(5) 아이템 (맨 아래의 사진)

플레이어가 사용할 수 있는 아이템을 나타냅니다


숏컷을 통해 최대 8개의 아이템을 지정할 수 있으며, 화살표 방향키를 통해 변경, 사용이 가능합니다
2. 게임 내 시스템


(1) 겨우살이

다크소울의 "화톳불"과 같은 개념의 시스템입니다


게임을 진행하다 보면 볼 수 있으며, 활성화하면 겨우살이를 통한 이동이 가능합니다

또한, 코드 베인은 미니맵에 안개가 껴있는데, 겨우살이를 활성화하면 그 구역 만큼 미니맵의 안개를 걷어낼 수 있습니다

-

(2) 블러드 코드



다른 게임에서의 "클래스, 전직"과 비슷한 개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게임 진행 중 "특정 NPC와의 대화, 특정 적 처치" 등 여러가지 루트를 통해 입수가 가능하며,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합니다

또한, 블러드 코드마다 태생적인 스텟, 사용 스킬이 다르기 때문에, 플레이어의 성향에 맞춰 자유롭게 바꿔서 장착하는 것이 좋습니다

-

(3) 연혈



플레이어가 습득할 수 있는 "각종 패시브, 버프, 액티브 스킬들"을 의미합니다

명혈을 소모해 사용이 가능하며, 블러드 코드에 따라 취득, 사용할 수 있는 연혈이 모두 다른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필드를 돌아다니며 "혈영"을 입수, 사용하면 블러드 코드를 강화해 더 많은 수의 연혈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3. 플레이 방식


(1) 필드를 돌아다니며, 다양한 적과 전투

플레이어는 스토리 진행을 위해, 각종 지역을 돌아다니며 다양한 적들과 전투를 하게 됩니다


-



(2) 겨우살이를 통한 지역의 매핑, 다양한 지역으로의 이동

미니맵은 플레이어의 이동 경로만 보여줄 뿐, 맵의 구조를 보여주지 않습니다


필드에서 발견할 수 있는 겨우살이 활성화, 타락한 겨우살이의 정화를 통해 맵의 구조를 확인할 수 있고

활성화한 겨우살이를 통해 빠르게 여러 지역을 이동할 수 있습니다

-





(3) 긴장되는 필드 탐험의 위험 요소 "타귀 난입"

가끔 필드를 돌아다니다 보면 특정 지역에서 "타귀 난입"이라는 현상을 조우하게 됩니다

타귀 난입이 시작되면, 플레이어의 주변에서 "몬스터 웨이브"가 시작되며, 적들이 일정 횟수 스폰됩니다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많은 적을 상대하는 만큼 높은 난이도를 자랑하지만, 타귀 난입을 이겨내면 평소보다 좋은 보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



(4) 동행 시스템을 통한 난이도 조절

플레이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면, "동행" 시스템을 사용해 플레이 난이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

게임 내 등장하는 특정 NPC들은 동행을 통해 "AI 파티원"으로서 같이 게임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NPC마다 "딜링, 탱킹, 보조" 등 강한 분야가 다르니, 플레이어의 성향에 맞는 NPC와의 동행을 통해 난이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



(5) 특수 기술 "흡혈"을 활용하는 전투

"연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명혈이 필요"합니다

명혈은 위에서 상술했듯이, "공격, 가드"를 통해서도 수급이 가능하지만, 흡혈로 수급하는 것이 가장 수급량과 효율이 좋습니다

무엇보다, 흡혈의 적중에 성공하면 잠시동안 명혈의 최대치가 증가하기 때문에, 활용하지 않을 이유가 없습니다

-



(6) 흡혈아장(방어구)의 변경을 통한 흡혈 시스템의 변화

"흡혈아장"이란, 플레이어가 착용하는 "방어구"를 의미합니다

단순히 방어력만 올려주는 방어구가 아닌, "스테이터스 보정, 흡혈의 기능 강화"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종류는 위의 사진처럼 "오우거, 스팅거, 하운즈, 아이비"의 4종류이며, 각 종류에 따라 고유한 흡혈 모션을 가지고 있습니다

플레이어가 장착 중인 "블러드 코드, 무기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성장 방향에 맞는 흡혈아장을 선택은 중요합니다

 


 

2. 단점

 

장점

  • 동행을 통한 난이도 조절 : 준수한 성능의 AI 파트너를 통해, 어려운 전투도 어느 정도 편하게 진행이 가능하다는 점이 좋음
  • 등장인물들의 비주얼 : 등장하는 NPC들이 대부분 미형이라서, 여러 등장인물을 만나는 재미가 있었음

 

단점

  • 불합리한 적들 : 보스를 포함한 많은 적들이 "공격에 선딜레이가 극도로 짧다", 이로 인한 불합리성이 심하게 느껴짐
  • 변태적인 맵 구조 : "복잡함, 다수의 적, 기습하는 적, 넓음, 나누어진 길" 등 플레이를 어렵게 하는 극상 난이도의 맵구조를 가짐
  • 조악한 인게임 디자인 : 탐험, 전투만 했다 하면, 캐릭터의 인게임 디자인의 그래픽 오류가 많은 편
  • 보스전 난이도 조절 : 초반 보스는 어렵고, 중반 보스는 너무 쉽고, 후반 보스는 불합리하게 어려워서, "보스전인데 재미가 없음"

 


 

3. 리뷰

완전히 재미가 없진 않았습니다. 하지만 느껴지는 재미에 비해서 짜증 유발 모먼트가 심하게 많으니 주의하세요 (대신, 큰 할인이 잦아요)

 


게임을 하는 이유가 "스트레스 해소와 재미"를 위해서인데, 스트레스를 받으면서 하면 게임을 하는 의미가 없죠
 
약간의 스트레스조차 우리의 즐거움을 날려버리기에는 차고 넘치니까요
 
작성자의 게임 실력 문제인지, 게임 자체의 특성인지는 모르겠지만, 게임을 하면서 힘든 때가 많았습니다
 
추천하지는 않지만, 소울라이크류 게임에 익숙하신 분들은 친숙함을 느끼실지도 모르겠네요
 
이번 포스트는 이걸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무해한 시민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