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 맘대로 하는 게임 리뷰

Game_Post 6 : [Terraria]

by SamEJi 2023. 5. 2.

Terraria : 테라리아

2011년 5월 16일

 

미국 인디애나의 Re-Logic 개발사에서 만든 샌드박스 게임

 

[Terraria : 테라리아] 입니다

 

가격은 스팀 기준으로 10,500원이며

 

비디오 게임 판매량이 4,450만 장을 달성할 정도의 인기 게임입니다

 

이렇게 큰 인기를 얻게 된 게임 테라리아의 리뷰와 설명 바로 시작합니다

 


1. 플레이 방식

 

테라리아를 시작하게 되면, 캐릭터세계의 창조를 처음으로 하게 됩니다

캐릭터의 정보세계의 정보별개로 저장되기 때문에

 

하나의 캐릭터로 여러 세계를 탐험하거나, 하나의 세계를 여러 캐릭터가 사용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1-1. 캐릭터 생성

캐릭터 생성 창

먼저 캐릭터 생성의 경우, 외형 관련 커스터마이징난이도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외형은 플레이어가 원하는 대로 꾸밀 수 있으며, 조건 하에 언제든지 변경이 가능합니다

(조건의 예시 : "옷장" 가구 사용 / NPC에게 돈을 주고 변경)

 

단, 난이도는 한 번 설정하면 절대로 바꿀 수 없습니다

난이도의 종류는 "여행클래식미디엄코어, 하드코어"의 4종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1시 방향부터 시계방향으로 "여행(저니) - 클래식 - 미디움코어 - 하드코어"

설명은 사진에 적혀있는 설명과 같지만, 세부적으로 설명을 드리자면

 

1) 여행 : 사망 시의 페널티 없음
-
2) 클래식 : 사망하면, 그 자리에 소지금을 일정 % 드롭 (드롭하는 %는 "월드 난이도에 비례")
-
3) 미디엄코어 : 사망하면, 그 자리에 "모든 돈과 아이템 드롭"
-
4) 하드코어 : 사망하면, 캐릭터가 삭제

이러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테라리아를 처음 해본 플레이어들은 클래식 난이도를 설정하는 것을 작성자는 추천드립니다


1-2. 월드 생성

세계 생성 창

캐릭터 생성을 완료했다면, 이제 세계를 생성할 단계입니다

 

세계는 이름을 제외하고 생성 이후 구성 요소를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선택에 신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세계의 구성 요소는 "세계의 크기, 난이도, 타락한 지형, 시드"의 4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름도 있기는 하지만, 중요한 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제외했습니다)

 

하나씩 나눠서 특징을 간단하게 설명하겠습니다

 



세계의 크기는 위의 사진처럼 "소형, 중형, 대형" 3가지 중 선택이 가능합니다

크기가 클수록 얻을 수 있는 자원이 많다는 장점이 있지만, 솔로 유저에게는 너무 넓기 때문에 이동 측면에서 단점이 존재합니다

(위에서 아래 순으로 "여행(저니) - 일반 - 전문가 - 마스터")

난이도는 "여행, 일반, 전문가, 마스터"의 4종류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난이도의 특징은 이렇습니다

-
1) 여행 : 여행 난이도의 캐릭터만 들어갈 수 있으며, 마치 GM 모드와 같은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2) 일반가장 기본적인 월드 난이도입니다
-
3) 전문가일반 난이도보다 강화된 난이도이며, 보스를 처치하면 전문가 모드 전리품을 얻을 수 있습니다
-
4) 마스터 :  가장 높은 난이도입니다. 보스 처치시 일정 확률로 마스터 모드 전리품을 얻을 수 있으며, 플레이어의 장신구 칸이 증가합니다
-


타락한 지형은 세계를 생성하면 확정적으로 보게 되는 특수 지형으로, 게임 안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영역이 더욱 커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오염지대진홍지대 두 종류가 있으며, 직접 선택하거나 랜덤으로 정할 수도 있습니다

각 지대에서 얻을 수 있는 자원이 다르기 때문에, 제작으로 만들 수 있는 아이템도 지대에 따라 달라집니다

하지만, 두 지대의 밸런스가 꽤나 잘 잡혀있어서 어디를 고르든 디메리트는 없는 편입니다


시드는 세계의 특징을 나타내고, 설정할 수 있는 고유값입니다

게임 설명에 의하면 세계의 유전자와 같은 시스템이며, 시드가 똑같은 세계는 세계의 구조가 완벽하게 일치합니다

특별한 시드값을 입력하는 것으로 맵의 구조나 플레이 방식이 변화된 특별한 세계를 만드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렇게 캐릭터와 세계의 생성을 완료하면, 드디어 진정한 게임의 시작입니다

 


2) 세계 입장

생성한 세계에서의 첫 스폰
가이드 (NPC)

만든 세계에 입장을 하게 되면, "NPC - 가이드"와 함께 한 초원에서 스폰하게 됩니다

 

화면 좌측 상단에는 "인벤토리의 퀵슬롯" / 우측 상단에는 "체력, 마나 게이지지도"가 있습니다

 

체력마나 게이지는 게임을 진행하면서 얻을 수 있는 특수 소모품을 사용해 최대치를 늘리는 것이 가능합니다

ESC 클릭 (좌측 상단 - 인벤토리 / 우측 중단 - 장비, 주택 기능, 장신구 등)

 

ESC를 클릭하면 왼쪽 상단에는 확장된 인벤토리 / 오른쪽에는 플레이어의 장착 장비를 볼 수 있습니다

 

플레이어가 장착이 가능한 장비는 클래식 캐릭터, 일반 월드 기준 "모자, 상의, 하의갑옷류 / 장신구 5개 / 보조 장비 4개"입니다

(치장용 의류는 외관 빼고는 게임에 큰 영향을 주지 않기에 제외합니다)

 


갑옷류
는 플레이어의 "방어력과 능력치"를 상승시켜줍니다


초반의 갑옷은 방어력만 상승하지만, 더 높은 등급의 갑옷을 얻게 되면 방어력과 능력치도 상승이 됩니다

장신구
는 최대 5개를 착용 가능하지만, 세계의 난이도와 특수 아이템 사용에 따라서 추가 착용이 가능합니다


전문가 난이도에서는 "기본 5개 + 아이템 = 6개" / 마스터 난이도에서는 "기본 6개 + 아이템 = 7개" 까지 입니다

장신구는 "이동속도공격력점프력채광속도..."등 각종 유틸성 능력치를 올려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기본 효과 외에도 능력치를 추가로 상승시켜주는 "접두어"시스템을 부여할 수도 있습니다

(접두어는 무기에도 부여가 가능하며, 방어구에는 부여할 수 없습니다)

보조장비는 "
갈고리광산 수레탈것"의 4종류가 있습니다

-
1. 갈고리 (왼쪽 상단)
 : 마우스 방향으로 갈고리를 발사하여, 이동을 보조할 수 있습니다.
-
2. 펫 (오른쪽 상단) : 소환 아이템을 통해 펫을 소환할 수 있습니다. 특정 펫들은 발광 기능을 가지고 있는 펫도 있습니다.
-
3. 광산 수레 (오른쪽 하단) : 착용하면 "선로" 블록에서 빠르게 이동이 가능한 수레를 탈 수 있습니다
-
4. 탈것 (왼쪽 하단) : 사용하면 플레이어가 탑승 가능한 탈것을 소환하며, 특정 탈것들은 비행, 활공, 채광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기본적인 인터페이스를 확인한 후에는 주변을 둘러볼 시간입니다

 

"구리 도끼"로 "나무"를 채취하는 모습

사진을 보면 기본으로 주어지는 도구인 "구리 단검구리 도끼구리 곡괭이"의 3가지 도구가 있습니다

 

주어진 도끼를 통해 나무를 패서 목재를 채취할 수 있고

 

"구리 곡괭이"로 "구리 광석"을 채취하는 모습

곡괭이로는 광물 등의 블록을 채취할 수 있으며

 

"구리 단검"으로 "슬라임"을 처치하는 모습

단검 같은 무기를 통해 몬스터를 처치할 수 있습니다

(도끼, 곡괭이로도 처치할 수 있지만, 대미지, 공격 속도 등 효율이 좋지 않습니다)

 

왼쪽부터 "목재 - 구리 광석 - 젤(슬라임 처치 드롭품)"

 

위의 3가지 행동에서 목재광물, 몬스터의 드롭품 등의 자원과 기타 재료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여러 재료들을 얻었으니, 이제 집과 가구를 만들어야 생존이 가능합니다

 

테라리아는 이 주기적으로 바뀌는데, 밤이 되면 몬스터가 대량으로 스폰되기 때문입니다

간단한 집의 구조

또한, 테라리아에서 집을 지으면, NPC가 거주하는 것이 가능하며, 거주하는 NPC들은 플레이어에게 다양한 도움을 줍니다

 

집이라고 인정받기 위해서는 몇 가지의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1. 집의 크기가 최소 "60블록 이상 ~ 750블록" 미만일 것 (즉, 너무 커서도 작아서도 안 된다)

2. 입구용의 문이 최소 1개는 있어야 한다

3. 의자, 탁자의 역할을 하는 가구가 1개씩 있어야 한다

4. 광원(횃불, 모닥불, 용광로 등)이 있어야 한다

5. 타락한 지형에 집을 지으면 안 된다

6. 벽면을 대부분 벽지로 메꿔야 한다

7. 천장이 블록이나 플랫폼으로 막혀져 있어야 한다

이 정도가 최소한의 조건입니다

 

세세하게 더 있기는 하지만, 작성자의 경험상 저 정도만 만족하면 대부분 인정이 됩니다

 

하지만, 기왕 지었으니 제대로 집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을 해야겠죠?

 

확인 방법은 이렇습니다

1. ESC를 클릭 후, 화면 우측의 장비 목록을 확인한다

2. 장비 목록 상단의 집 모양으로 된 "주택" 버튼   
  을 클릭한다

3. 버튼 클릭 시 나타나는 가이드 얼굴과 "?" 아이콘 버튼 중 "?" 버튼을 클릭한다

4. 버튼을 클릭 후 건설이 완료된 집을 아무 곳이나 클릭한다

5.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부족한 요소를 알려주는 문구가 확인 가능하다

이렇게, 자원도 캐고, 집도 만들고 하면서 게임에 대한 감을 익히게 되면, 이제 탐험의 시간입니다

 

탐험은 주로 지상지하로 나눌 수 있습니다

 

지상에서는 한 방향으로 쭉 돌아다니는 것으로 끝이지만, 테라리아의 진정한 탐험은 지하입니다

 

왼쪽부터 "금 광석 - 지옥석 광석 - 루미나이트 광석"

지하를 탐험하는 것을 통해 높은 등급의 광물과 재료들을 얻을 수 있고

 

위의 광석을 재련한 도구(위), 무기(아래)

광물의 재련을 통해 기존에 쓰던 것보다 높은 등급의 도구와 강한 장비를 마련할 수 있으며

 

좌측부터 "일반 몬스터 - 좀비 / 보스 몬스터 - 크툴루의 눈"

그렇게 만든 강한 장비들이 있어야만 앞으로 있을 몬스터와 보스를 수월하게 상대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러 지역을 탐험하며 자원을 얻는 것이 무척이나 중요합니다

 

이 내용들이 테라리아 플레이의 알파이자 오메가입니다

 

"몬스터 사냥으로 전리품을, 탐험을 통해 자원을 얻어서 장비를 갖추고 보스들을 격파한다"

 

기본적으로 자유로운 샌드박스 게임이지만, 테라리아는 광질 외에는 전투의 비중이 높기 때문에 만들어지는 구조입니다

 

기초 플레이 방식은 이 정도면 이후에는 플레이를 통해 알 수 있으니, 바로 다음으로 넘어가도록 하죠

(너무 자세하게 하면 내용이 지나치게 많아지니, 흥미가 생기신다면 플레이해 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2. 게임의 단점

 

장점

  • 높은 자유도 : 전투를 하던, 마을을 만들던, 아이템을 수집하던, 엔딩을 보던 "모든 것을 플레이어 마음대로 할 수 있음"
  • 다양한 무기 : 검, 철퇴, 총, 활, 마법서, 소환수... 이 외에도 다양한 무기가 있으며, 착용 제한도 없어서 성향에 맞게 선택 가능
  • T 모드로더 : 다양한 모드를 추가할 수 있는 "공식 무료 DLC"로써, 기존 테라리아에서 느낄 수 없는 색다른 재미를 느낄 수 있음

단점

  • 불친절한 설명 : 게임 설명을 위해 존재하는 가이드가 큰 줄기만 말해주고, 자세하게는 알려주지 않아서 플레이에 불편함을 줌
  • 함정 시스템 : 지하에는 "폭탄이 설치된 상자, 화살 함정이 숨겨진 벽과 바닥, 출혈 가시"등 함정이 너무 많아서 어려움이 있음
  • 한글의 부재 : 기본적으로 한글 번역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한글 패치를 따로 다운로드하여 적용해야 함

 


 

3. 리뷰

재미는 충분하지만, 설명이 너무 불친절해서 "정보 찾는 시간이 순수 플레이 시간과 비슷할 정도"라는 것이 많이 아쉬움

 

 


 

 

이렇게, 이번 글도 마무리를 지었습니다

 

작성자는 PC+모바일+모드로더를 전부 포함해서 플레이 타임만 270시간을 넘을 정도로 테라리아를 즐겨했습니다

 

판매량이 4,000만 장을 넘긴 인기 게임이라는 것을 게임 플레이를 통해 한 번 느꼈고

 

(영어이긴 하지만) 많은 정보가 담긴 수많은 커뮤니티를 통해 두 번 느꼈습니다

 

아쉬운 점도 있긴 했지만, 개인적으로 추천하고 싶은 게임 "테라리아"였습니다

 

테라리아는 따로 영상을 찍기가 애매한 관계로 이번 포스트에는 영상을 첨부하지 않겠습니다

(종결 무기를 완성하면, 전부 학살이 가능해서... 찍어도 재미가 없을 듯합니다)

 

감사합니다 무해한 시민이었습니다.

 

 

 

(칼라미티는..... 선택입니다...)